본문 바로가기
사람사는 세상 Column

<칼럼> 한국전쟁전후 민간인 희생자들에 대한 후속조치 하루빨리 이루어져야 한다.

by ☆ Libra 2009. 11. 14.

 희생자 유족회원들이 합동제례를 올리며 민간인 학살 희생자 위령제는 숙연한 분위기로 시작했다. 완도지역에서는 처음있는 일이다. 그동안의 세월을 생각하면 꿈같은 일이다.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 기본법」이 제정되고 이에따라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전후, 1945년 8월 15일부터 권위주의 통치시까지 항일독립운동, 해외동포사, 민간인집단희생 등 사건의 진상을 규명하여 역사의 진실을 밝히고자, 전국의 관련유족 및 시민사회단체들의 노력으로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가 지난 2005년 겨우 출범하면서 60년 가까운 기나긴 세월동안 묻혀있던 영령들의 진실이 수면위로 드러나게 되었다.


 이번 위령제는 유족회원들의 한을 조금이나마 풀어주는 계기가 되었다. 지난 2008년 노무현 대통령이 과거 국가의 공권력 불법행위에 대한 첫 사과를 함으로써 활기를 띠다가 이명박정부들어서 희생자 유족들이 요구하는 진실규명과 후속조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한국전쟁전후 민간인 학살사건은 전국적, 조직적으로 자행된 국가 폭력이어서 피해자, 유족, 시민사회단체가 추산하고 있는 사건은 총 2,000건이 넘는다. 현재 유족회는 행정안전부에 권고사항을 요구하고 있는 상태이다.

 
  희생자들의 억울한 죽음은 무엇으로도 보상받을 수 없다. 정부가 할일은 진실을 밝히고 유족들에게 사죄하고 희생자 유가족에 대한 명예회복같은 후속조치가 마땅히 하루빨리 이루어져야 한다. 과거사정리는 여전히 진행중이다.

 김보희 완도군 유족회장은 “유족들이 어렸을 때 일이고 오래된 일이어서 기억을 못하고, 역사를 모르고 있어서 아버지, 어머니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무엇때문에 죽은지도 모르고 50년,60년 세월만 흘러서 진실조사에 어려움이 많았다. 과거사에 대해 참여의식이 적어서 아쉬웠다.”며  “앞으로 해마다 위령제를 모실 계획이며 정부의 사과를 받아내고 유족들에 대한 위로보상해야 된다는 운동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하고 “너무 늦은 감이 있지만, 이제라도 억울하게 희생당하신 분들의 넋이 편안하게 영면하셨으면 한다.”고 말했다.


 유족회는 과거사에 대한 진실을 전국민에게 널리 알리고 희생자와 유가족의 억울함을 달래고 국가공권력에 의해 희생당한 넋을 위로하고자 1990년부터 각급기관에 청원을 하였으며 마침내 진실화해위원회가 구성되어 2005년 과거사정리특별법이 국회에서 제정되면서 정부차원에서 진실을 밝히고 희생자와 가족들의 명예를 회복하기 위하여 지금도 노력하고 있다.


 일제강점기의 친일부역자들이 해방후 그대로 미군정에 이양되고 반민특위가 해체되면서 우리는 역사가 없는 역사를 살았다. 그 역사는 죽어있는 역사이다. 진실을 숨기고 정부는 거짓자유를 내세웠다. 부끄러운 역사를 살았으며 아직도 부끄러운 역사를 살고 있다. 과거사에 대한 진실규명과 명예회복이 없었기 때문이다. 누가 이러한 일을 과거사 들추기로 매도한단 말인가. 떳떳하지 못한 과거를 사죄하고 핍박받았던 세월을 배상해야만 화해가 이루어질 것이다. 쉬쉬하며 숨기려 했던 가슴아픈 역사를 후손들에게 물려주어서는 안된다. 과거사정리의 뼈아픈 반성과 사죄가 있어야 대한민국은 떳떳하게 거듭날 수 있다.


 위령제에 걸맞는 후속조치는 영령들의 넋을 위로하는데 그치지 않고 한많은 60년을 살아온 유족들의 명예까지 회복하는 것이다. 정부는 이것이 국민통합의 길임을 알아야한다.

kpprcamp@hanmail.net

 

 

 고 김현욱님의 손자인 김용수시인이 추모시를 낭송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