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147.46.103.182/OIS/GZD/VIEWER.jsp?nodeid=708&tablename=KYD_GZD_D_TBL&domain=e-kyujanggak.snu.ac.kr
강진현고금도진지도 康津縣古今島鎭地圖, 전라도 康津縣에 있던 古今島鎭을 그린 지도로 현재의 행정구역으로는 전남 완도군 고금면에 해당한다. 고금도진은 1598년(선조 31)에 이순신 장군이 이곳에 주둔하여 募民屯耕하면서 왜선을 격파했고 明將 陳璘도 군대를 주둔시켜 왜군을 제압하는데 일조를 하여 명나라까지 알려졌던 곳이다.
1681년(숙종 7) 이곳이 적을 제압할 수 있는 천혜의 요충지임이 인정되어 진을 설치하고 水軍同僉節制使를 파견하였다. 표현 양식을 보면 회화적 수법을 가미하였는데, 녹색의 농담을 살려 산세의 입체감을 나타냈다. 주변 섬의 모습은 정면으로 투시한 산을 그려 나타냈다. 진의 중심에는 각 관청 건물의 배치와 船所의 모습이 자세히 그려져 있다. 주변의 동?서?남?북면에는 소속 촌?리를 색채를 달리하여 표시하였다.
방위는 지도의 위쪽이 북쪽이 아니라 서쪽으로 된 점이 독특하다. 또한 진의 중심을 기준으로 해서 동서로 산의 방향이 서로 반대로 되어 있다. 이는 회화적인 수법을 가미한 지도에서 많이 보이는 것으로 여러 방향에서 투시함으로써 지역의 모습을 보다 역동적으로 표현하려고 했던 데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지도의 상단에는 고금도진의 간략한 建置沿革과 군사?행정적으로 중요한 관련을 지니는 지역인 康津縣?全羅左右水營?兵營?京城까지의 里數가 기재되어 지도를 보완해 주고 있다.
지도위의 지명
가내리(加乃里)가마리(駕馬里)가사리(加沙里)가지도(加枝島)객사(客舍)건천리(乾川里)고마도(古馬島)
관방(關防)관상리(官上里)관왕묘(關王廟)관청(官廳)구성리(九成里)구암리(鳩岩里)군기고(軍器庫)
궁항리(弓項里)
남면(南面)내동(內洞)내삼문(內三門)내아(內衙)농면(農面)농상리(農上里)
당목리(棠木里)대곡산(大谷山)대평리(大坪里)도암리(道岩里)돈대(墩臺)동리(東里)동면(東面)동무(東?)
동백리(冬栢里)동재(東齋)동촌(東村)동헌(東軒)
망덕산(望德山)
방축(坊築)병선(兵船)봉황산(鳳凰山)북면(北面)
사령청(使令廳)사후도(伺候島)사후선(伺候船)살금리(殺金里)삼문(三門)삼문(三門)삼문(三門)상정리(上亭里)
서리(西里)서면(西面)서무(西?)서재(西齋)석교(石橋)석교(石橋)세도(細島)세포리(細浦里)수자동(袖子洞)
신지진(薪智鎭)신흥리(新興里)
어두지(魚頭池)어둔동(於屯洞)어란정(於蘭井)여동리(呂洞里)영부동(永扶洞)옥천사(玉泉寺)완도(莞島)외삼문(外三門)
요망대(瞭望臺)용지동(龍池洞)용초(龍草)우두리(牛頭里)원도(圓島)융물고(戎物庫)이청(吏廳)잉도(芿島)
장관청(將官廳)장기동(莊崎洞)장시(場市)장중리(長中里)장청(將廳)장풍리(長豊里)장항리(獐項里)전선(戰船)점(店)
조도진(鳥島鎭)조약도(助藥島)죽선리(竹仙里)중목리(中木里)중삼문(中三門)진선(津船)진선(津船)진선(津船)
진선(津船)집물고(什物庫)
참왜도(斬倭島)척찬리(尺贊里)천구리(泉仇里)청학리(靑鶴里)초안도(草安島)침회정(枕檜亭)
탄도(呑島)
파련당(波練堂)
항도(項島)해남도(海南島)혈도(穴島)홍문(紅門)홍문(紅門)화약고(火藥庫)환고(還庫)
'완도Wando고금도Gogeumdo'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금도 인물사 - 용남 홍병례 선생 (1) | 2010.10.25 |
---|---|
영모사 시제(사진,동영상) (0) | 2010.10.22 |
고금유림의 요람 6원사를 찾아 - 영모사 (0) | 2010.10.03 |
삼문산에 올라 - 망봉에서 다도해를 굽어보니 (0) | 2010.09.19 |
고금유림의 요람 6원사를 찾아 - 숭유사 (0) | 2010.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