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유재란11

고금도해전! - 한중일 세나라가 고금도에서 만나다. 임진왜란은 우리에게 역사에 대한 많은 이야기거리를 던진다. 당시 지배계급의 해이는 한반도를 걷잡을 수 없는 전쟁으로 몰고 갔고 (왜 10만양병설을 무시했는지) 그때문에 이땅의 민중들은 나라가 보호해주지 못한 삶을 지키려고 스스로 일어나야 했다. 우리의 수군과 의병, 명나라 구원군이 똘똘뭉쳐 막아낸 해전. 바다에서 왜는 기를 펼 수 없었다. 이순신이 있었기 때문이다. 충무공 이순신 영정 정왜기공도 - 임진왜란의 생생한 장면을 중국의 종군화가가 그린 그림으로 현장감이 넘친다. 이순신의 빛나는 해전사가운데 한자리를 차지하는 고금도해전, 역사가 기록으로 증명하고 있기에 우린 400여년전, 이 땅에서 한중일이 만났던 이 역사적사건을 다시 끄집어 낼 수 있다. 고금도는 정유재란때 우리수군의 통제영이었다. 또한, .. 2010. 9. 8.
묘당도 이충무공유적지 충무사 - 관왕묘에 얽힌 이야기 세상 어느 곳이나 시대에 따라 흥망성쇠를 거듭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당대의 일들을 고스란히 안고 있는 역사유적지는 후대 사람들의 판단에 따라 대단한 것이 되든지 하챦은 것이 되곤 한다. 완도군 고금면에 있는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지, 충무사의 유래를 살피다 보면 이 곳도 역사의 소용돌이와 함께 그 가치가 도드라졌다가 시들기를 되풀이 했다. 깨어있는 사람들은 늘 이곳을 소중히 가꾸고자 했다. 선조들은 이곳을 소중하게 여겼다. 이 사당으로들어가는 곳에 대소인원개하마비 (大小人員皆下馬碑)를 세우고 누구든지 이곳에 경건한 예를 갖추기를 바랐다. 충무사안에 세워져 있는 관왕묘비엔 이 곳에 대한 유지가 간신히 명맥만을 유지하고 있음을 안타까이 여기는 내용이 있다. 오랜 세월이 흐른 지금,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지는 .. 2010. 8. 22.
어란정 - 고금면 화성마을 정유재란때 마지막 본영이었던 고금면 덕동마을 옆, 화성마을에 있는 이 우물은 우리 수군의 목마름을 해결 하기 위해서 팠다고 하는데 어란진만호가 우물을 팠다고 해서 어란정이라 했다는 이야기와 어란이란 여인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이순신장군과 진린장군이 고금도에 본영을 설치하고 임진왜란의 막바지를 준비하면서 여기 저기 남아 있는 유적들은 후세사람들의 이야기짓기로 입에서 입으로 전해내려온다. 그래서, 전설이 되었다. 옛날의 초라한 우물을 다시 복원하였다. 이곳에서 물한모금으로 목을 축이고 왜적을 물리쳤던 우리수군들을 생각해본다. 2009. 11. 29.
<풀뿌리 면정> 충·효·예의 고장 아름다운 고금 - 박명규 고금면장 고금면은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마지막 본영으로 공의 영정을 봉안하였다가 충남 아산으로 모셨던 유서깊은 충절의 고장이며, 청정해풍과 유기농으로 생산한 품질좋은 유자의 본고장이기도 하다. 고금면 충무사는 선조31년(1598), 정유재란때 충무공이 명나라 수군 도독 진린과 본영을 이곳에 두고 왜군을 크게 무찌른 곳이며, 공께서 노량대첩에서 장렬한 최후를 마치신 이후 이곳에 영구를 봉안하여 오다가 지금의 현충사로 옮긴 유서깊은 장소이다. 고금면은 2천여 세대에 4,600여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유인도 2개를 포함 33개마을로 구성되어 농업과 어업이 적절히 잘 조화되어 있다. 2007년 6월 29일에는 강진군 마량면과 고금간 760m의 연륙교가 개통되어 동으로는 약산면, 금일읍, 생일면을 잇고, 남으로는 신지면, .. 2009. 11. 15.
<현장보고> 섬기행 고금도-忠의 얼이 서려있는 곳 섬기행 -고금도편- 1. 충무사에서 나라사랑의 역사를 느껴보자 . 육지를 코앞에 두고도 바다를 건너야 했던 고금도. 지난 2008년, 강진군 마량면과 다리가 연결되면서 고금도사람들은 오랜 숙원을 이루었다. 국도77호선이 완도군 신지면(신지도)을 향해 뻗어있고 동쪽으로 이웃한 약산면(조약도)과 연도교가 개통되어 금일읍(평일도),생일면(생일도),금당면(금당도)를 포함하는 완도 동부지역의 교통요충지로서 수많은 사람들이 오고 간다. (사진 : 고금휴게소 조감도) 강진마량에서 고금대교를 지나면 바다를 조망할 수 있는 휴게소 및 지역특산품판매장을 짓고 있는데 완공되면 고금도의 명물로 자리잡을 듯하다. 교성마을의 고인돌공원에서 쉬어간다. 이곳은 선사시대의 고인돌이 널려있는데 주민들과 관광객들이 소풍장소로 많이 이용하.. 2009. 10. 29.